TIL (Today I Learned)
- 2022.03.01
📕 오늘 읽은 범위
- 6장. 객체와 자료구조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 복잡한 시스템을 짜다 보면 새로운 함수가 아니라 새로운 자료 타입이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 이때는 클래스와 객체 지향 기법이 가장 적합하다. 반면, 새로운 자료 타입이 아니라 새로운 함수가 필요한 경우도 생긴다. 이때는 절차적인 코 드와 자료 구조가 좀 더 적합하다. (p.122)
🤔 오늘 읽은 소감은?
객체는 내부 자료를 숨기고 함수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 자료 구조는 반대로 내부 자료를 드러내고 별다른 함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책에선 객체 방식의 예로 Shap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Square, Rectangle, Circle 등의 클래스들을 보여주는데 일반적으로 클래스 상속관련에서는 ‘hello world’ 만큼이나 많이 나오는 주제였기에 관련 절차지향적인 기법을 설명할때도 이해가 쉽게 되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이 더 효율적일지, 깔끔하게 코드를 정제 할 수 있는 지의 고민 없이 대체적으로 객체화 하여 처리해왔던 습관때문에 기계적으로 편하게 이 방법 저 방법 채용하여 책에서 말하는 ‘잡종 구조’를 남발 하였을지도 모를 기존 코드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전에는 객체와 자료구조를 딱히 구분할 개념조차 가지지 않았었는데 한번 다시 정리를 해봐야 할 것 같다
'도서 > 클린코드_#bookclub#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 코드 #16일차 (0) | 2022.03.25 |
---|---|
클린 코드 #14일차 (0) | 2022.03.25 |
클린 코드 #11일차 (0) | 2022.03.25 |
클린 코드 #8일차 (0) | 2022.03.25 |
클린 코드 #5일차 (0) | 2022.03.25 |